빅토르 안 동메달 후 환호를 보며 씁쓸했던 이유

Posted by Soccerplus
2014. 2. 11. 17:02 텔레비젼 이야기/세상 이야기

동계 올림픽이 한창이다. 우리나라는 금메달 4개 은메달 몇 개, 동메달 몇 개를 따며 종합 순위 10위 안에 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를 내가 왜 외우고 있는지 모르겠다. 뉴스에서 인터넷에서 하도 많이 봐왔기 때문일 것이다. 올림픽이 얼마나 큰 대회인가. 지상파를 통해 볼 수 없던 스포츠 종목들이 프라임타임 드라마와 뉴스를 제칠 수 있는 유일한 시기일 것이다. 4년에 한 번, 지구촌의 축제이다. 스포츠를 통해 하나가 되는 지구촌의 축제. 정정당당한 승부 앞에서 울고 웃는다. 

우리나라는 명실공위 쇼트트랙의 최강국이다. 전이경, 김동성, 안현수, 진선유 등등 어려서부터 다른 종목 선수들은 몰라도 쇼트트랙 선수들의 이름만큼은 귀에 딱지가 않도록 들었던 것 같다. 이번 대표팀에는 세계 최고라는 여자부 심석희만큼이나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 빅토르 안의 일거수 일투족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벤쿠버 대회에서부터 꾸준히 지적된 빙상연맹의 횡포가 한 선수의 국적을 바꾸어버리고 말았다. 이번 대회에서 우리나라 선수만큼이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현수를 응원하고 있다. 



남자 1500미터 경기 결승에서 이한빈과 안현수가 결승에 올랐다. 7명의 선수가운데 두선수를 눈여겨보게 되었다. 두 선수가 나란히 금메달 은메달을 땄으면 좋았겠지만, 한 선수는 3위 한 선수는 6위에 그쳤다. 나도 모르게 실망을 했다. 해설위원이 분명히 이한빈 선수가 1500미터 세계 랭킹 1위라며 기대를 하게 만들었지만 막판에 힘이 빠진듯 치고나오지 못했다. 12년전, 8년전 김동성과 안현수의 기적이 익숙했던 우리나라 팬들에게는 실망스런 결과였을 것이다. 

3위를 기록한 안현수에게도 실망스러운 결과였을 것이다. 전종목 입상을 노리며 금메달을 다 따올 수 있을 법한 기세였다. 하지만 안현수 역시도 캐나다의 찰스 해믈린을 따라잡는데 실패했다. 황제의 화려한 귀환을 꿈꿨을 안현수였지만 주종목이나 마찬가지인 1500미터에서 동메달을 따는데 그쳤다. 하지만 안현수는 경기 후 러시아 국기를 들고 링크를 돌며 환호했다. 경기가 끝난 뒤 그의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메달을 딴 뒤의 기쁨을 표현하기도 했다. 

어딘가 한 방 맞은듯 머리가 띵했다. 그가 러시아 국기를 흔들고 환호해서가 아니었다. 만약 안현수가 한국 대표팀의 옷을 입고 동메달을 땄다면 그렇게 기쁘게 태극기를 들고 링크를 돌 수 있었을까. 만약 이 경기가 벌어졌던 장소가 2014년의 소치가 아니라 2018년의 평창이었다면, 한국팬들은 3위를 한 '우승후보'에게 실망감을 감추지 않을 수 있을까? 아니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실망감보다 격려와 즐거움의 좋은 감정이 먼저 나올 수 있을까. 러시아는 이번에 처음으로 쇼트트랙 종목에서 메달을 땄지만, 안현수는 당연히 우승 후보였다. 금메달을 기대했을 것이다. 하지만 3위를 한 안현수에게도 우뢰와 같은 박수와 환호가 쏟아졌다. 

5000m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우승을 기대했던 이승훈 선수는 기대 이하의 성적으로 12위를 기록했다. 인터뷰도 거절한 채 '죄송하다'라는 말만 남기고 사라졌다. 그가 왜 죄송해야 하는가. 그는 그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실력을 가졌기에 국가대표로 선발 되었다. 그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했고 세계에서 12번째로 스케이트를 잘 타는 선수였다. 기록을 세우지 못했다고, 메달을 걸지 못했다고 그가 실망하고 죄송할 필요는 없다. 

금메달 몇 개 은메달 몇 개 동메달 몇 개를 따서 종합 몇 위를 차지하는 것도 중요할 수 있겠지만 선수 한 명 한 명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서 자기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가슴팍에 달려있는 태극마크의 무게를 느끼며 최선을 다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동메달을 딴 뒤 환호를 했던 안현수의 모습은 그가 기대에도 없던 메달을 따서 환호한 것도 아니었고, 그가 수많은 러시아 팬들 앞에서 답례차원으로 했던 팬서비스도 아니었다. 쇼트트랙 황제로 군림했던 8년전에 비해 빛나는 자리에 오르지도 못했지만 그 8년의 시간동안 자신이 했던 고생과 어려움을 날려버린, 그리고 다시 정상을 겨룰 자리에 서기 까지 최선을 다한 행복한 환호였다. 그게 금메달이 아닌게 뭐가 그리 중요하겠는가. 

아쉽게 100분의 1초차 단위로 메달을 따지 못한 모태범도 고개숙일 필요 없다. 4위를 한 모태범에게만 관심을 가질 필요도 없다. 무려 6차례나 올림픽에 도전하며 자신의 한계를 시험한 이규혁에게도 토리노 올림픽 동메달 이후 다시 올림픽 무대를 뛰기 위해 최선을 다한 이강석에게도 95년생으로 처음 올림픽의 무게를 느꼈을 김준호에게도 박수를 건내고 싶다. 헬스장에 한 번 가서 웨이트 들어올리기도 귀찮아 하는 나에게 이보다 더욱 더 혹독하고 힘든 훈련을 4년동안 했을 이들에게 박수를 건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